교육목표
- 환경교육을 통한 지속가능한 기업환경 조성 및 소속 임직원의 환경소양 제고
교육내용
- 1차시 : 기후변화와 IPCC보고서 / 진 경 박사(극지연구소)
2차시 : 흡수원 확대와 생물 다양성 / 박영준 연구원(국립생태원)
3차시 : 생물다양성과 법 / 전재경 대표(자연환경국민신탁)
4차시 : 온실가스 배출과 탄소시장 / 이다은 연구원(한국기후변화연구원)
5차시 : 폐기물과 순환경제 / 홍수열 소장(자원순환사회경제연구소)
6차시 : RE100과 텍소노미 / 김태한 연구원(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)
7차시 : 환경표지제도의 이해 / 정주호, 김진현 연구원(한국환경산업기술원)
8차시 : 기후위기와 대체식품 / 심현보 부사장((주)딜로이트)
9차시 : 국가지자체의 기후변화 대응 방안 / 전은돈 팀장전은돈 팀장(한국기후변화연구원)
목차
- 01차시 : 기후변화와 IPCC보고서 / 진 경 박사(극지연구소)
- 02차시 : 흡수원 확대와 생물 다양성 / 박영준 연구원(국립생태원)
- 03차시 : 생물다양성과 법 / 전재경 대표(자연환경국민신탁)
- 04차시 : 온실가스 배출과 탄소시장 / 이다은 연구원(한국기후변화연구원)
- 05차시 : 폐기물과 순환경제 / 홍수열 소장(자원순환사회경제연구소)
- 06차시 : RE100과 텍소노미 / 김태한 연구원(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)
- 07차시 : 환경표지제도의 이해 / 정주호, 김진현 연구원(한국환경산업기술원)
- 08차시 : 기후위기와 대체식품 / 심현보 부사장((주)딜로이트)
- 09차시 : 국가지자체의 기후변화 대응 방안 / 전은돈 팀장(한국기후변화연구원)
수료기준
수료기준 표로, 항목, 반영비율, 과락기준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 항목 | 반영 비율 | 과락 기준 |
진도 | 100.0% | 80 |
수료 기준 | |